제목 | [FOTOMA 영아티스트] 6. 이계영 사진가 영상보기 |
---|---|
전시장 | 이계영 사진가 영상보기 |
조회수 | 223 |
등록일 | 2023-02-21 |
내용 |
나는 낯선 공간에 관심을 가진다. 공간은 항상 변화하고 있다. 무엇이 공간 속에 존재하는 배경과 사물을 끊임없이 변화게 하는 걸까? 항상 의문을 가지며 공간을 들여다보고 있다. 시대의 역사에 따라 변화해 가는 시공간은 항상 무엇인가가 주체가 되어 변화를 주도해 왔다. 그 주체가 누구인 것이냐에 따라 공간은 끊임없이 변화를 해가고 발전한다. 대한민국 근대를 이끌어 왔던 부산, 6.25전쟁을 중심으로 우리 삶의 중심지였으며 삶과 생의 공간이자 터였다. 그러나 50여 년이 지난 지금 이곳은 이전의 삶의 터이자 생활의 모습은 온데간데없고, 마치 현대판 드라마 세트장의 모습처럼 자연스럽게 변화되어 가고 있다. 공간의 주체가 자본으로 바뀌면서 공간은 삶은 공간이 아닌 소비의 공간으로 변화되어버린다. 자본이 주인이 된 공간은 마치 팔려고 전시해놓은 쇼-윈도처럼 자기를 상품화하고 소비를 유발하고 있다 I have an interest in unfamiliar space. The space have always changed. What cause the changes of the objects and backgrounds in the space? With that in mind, I have always looked into the space. Throughout the history, there has always been a driving force that initiates the changes. Depending on the main agent, the space has been changing and developing differently. Busan has spearheaded the modernization of Korea. Following the Korean War, Busan was the hub of people’s lives as well as the space and base for lives. Five decades later, the image of the space and base for livelihood has gone. It seems that the city has been transformed into a filming site for modern dramas. With the rise of capital as the driving force in the space, the space is a place for consumption rather than life. In a space, where the capital holds hegemony, everything objectifies itself to be consumed. We are in a huge show window. 1968년 대한민국 부산출생 부산대학교 대학원 예술문화영상학과 미학전공 재학. 부산대학교 평생교육원 디지털사진아카데미 강사(2010~ ) 사진아카데미 운영 사진인문학 3개강좌(2014~ ) 개인전 2019.01 <The Jeju> 반도갤러리, 서울 2018.10 <The Jeju> 갤러리 수정, 부산 2015.05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V2> 류가헌 갤러리, 서울 인사동 2014.06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V1> 프랑스문화원 ART SPACE, 부산 단체전 2018.10 <경주, 색다른 시선>, 솔거미술관, 경주 2018.08 <회동담화>예술지구 P 2018.06 <꽃피는 봄이오면>, 해운대 비엔날레 2017.11 <Up> 제3회 GP1826 비엔날레, 스페이스 닻갤러리 2016.05 <꽃피는 봄이오면>, 해운대문화회관 2015 <리뷰=reviewing> GP1826 비엔날레, 부산문화예술회관 <경주 현대사진캠프 최우수포트폴리오 7인전> 갤러리 나우, 서울 <국제 포토그라피 아트페어 초대작가> 후쿠오카아시아미술관교류갤러리, 일본 2014 <부산 국제환경포토그라피 아트페어 초대작가> 2013 <꿈사진, 사진꿈 GP1826 비엔날레> 부산문화예술회관 <5인전 사진으로의 방황> 갤러리 움, 부산 외 다수 수상 2019 lensculture.com Street photography award 2019 수상 2015 제 2회 최민식다큐멘터리사진상 수상 2014 경주 현대사진캠프 최우수 포트폴리오 수상 Biography Lee Kyeyoung was born in Busan, Korea in 1968. He studied at Major in Aesthetics, School of Art at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He teaches students photography at Digital Photography Academy of Continuing Education Center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Private Exhibition 2019.01 <The JEJU island> gallery Bando, Seoul 2018.10 <The JEJU island> gallery Sujung, busan 2015.05 < Mugunghwa kkochi pieotseubnida. V2 > Gallery Ryugaheon, Insa-dong, Seoul 2014.06 < Mugunghwa kkochi pieotseubnida. V1 > French Cultural Center ART SPACE, Busan He also participated in the following exhibitions: In 2015 <REVIEW=reviewing> GP1826 the Biennale, Busan Cultural Center <Gyeongju Contemporary Photography Camp 2014, Portfolio 7> Gallery Now, Seoul <Invited Artists in International Photography Arts Fair> Fukuoka Asian Art Museum, Japan In 2014 <Invited Artists in Busan International Environment Arts Fair> In 2013 <Dream photographs, Photographs Dream GP1826 the Biennale> Busan Cultural Center <Five artists’ exhibition of “Wandering into the photograph” > Gallery Um, Busan, and more Award Winning 2019 lensculture.com Street photography award 2019 Award 2015 the second Choi Min-shik Photography Award 2014 Gyeongju Contemporary Photography Camp – Best Portfolio |
이전글 | [FOTOMA 영아티스트] 김은주 사진가 인터뷰 영상 |
다음글 | [FOTOMA 영아티스트] 7. 김동우 사진가 _ 뭉우리돌을 찾아서 |